BIDF 개막식 및 개막공연 6.3금 동래학춤
페이지 정보

본문
단체명 | 부산시무형문화재 제3호 동래학춤보존회 |
---|---|
작품명 | 동래학춤 |
안무 | - |
안무자 소개 |
- 동래학춤 예능보유자 - 동래학춤보존회 회장 - 사)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 이사 - 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 역임. |
무용단 소개 | 동래학춤은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3호로 1972년9월19일 지정된 문화제로 동래지역의 자연환경과 들놀음, 줄다리기, 한량무 등의 민속예능과 풍류문화권에서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덧배기 춤으로 100여년의 전통을 갖고 있으며, 예능보유자 2명(이성훈 – 무수, 김태형 - 상쇠), 전수교육조교 5명, 이수자30명, 전수장학생 10명, 그리고 전수교육생으로 구성되어 있다. |
작품소개 | 동래학춤은 동래 지역 한량들이 즐겨 추었던 동래 덧배기춤이 예술적으로 발전된 상태이며 자연미와 예술미의 조화로서 그 가치를 높이 평가할 수 있다. 춤의 예술성이 모방과 사실성 보다는 창조성과 즉흥성, 그리고 상징성에 있다고 볼 때 단순한 민속무로서의 범주를 넘어 예술적 차원에 도달한 춤이다. 검정 갓과 흰 도폭자락의 움직임이 마치 학이 나는 모습을 춤으로 나타낸 천박하지 않고 기품과 격조를 겸비한 민속춤이다. 반주음악은 사물악기(꽹가리. 징. 장구. 북)와 구음을 하며 굿거리 장단을 친다. |
공연시간 | 9 - 10분 |
음악 | 사물 생음악( 꽹가리, 장구, 북, 징) |
출연진 | 이성훈(춤,보유자), 김정영(무수), 이광호(무수), 이나현(무수), 배철희(무수), 김정원(무수), 박세준(무수), 김일한(무수), 오치훈(무수), 박윤선(장구), 구옥자(북), 한선미(징), 신호수(꽹가리), 김신영(구음) |
- 이전글1. EXTRACTS OF ALENTO AND QUERENCIA I 2. EXTRACTS OF ALENTO AND QUERENCIA II 22.05.10
- 다음글소고춤 22.05.10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